금융지식

PER(주가수익비율)이 낮은 주식을 매수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AgileBus 2025. 2. 28. 08:08

PER(주가수익비율)을 계산하는 방법

 

PER = 주가 (Price) / 주당순이익(EPS)

* 예를 들어, 한 기업의 주가가 50,000원이고 주당순이익이 5,000원이라면 PER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PER = 50,000원 / 5,000원 = 10

 

* 주당순이익(EPS, Earnings Per Share)은 기업이 발행한 주식 주당 얼마나 많은 순이익을 벌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EPS = 순수익(Earnings) / 발행된 총주식수(Share)

 


PER이 낮은 주식을 매수할 때 주의해야 할 점

 

PER(주가수익비율)이 낮은 주식을 매수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PER이 낮은 이유 분석

  • PER이 낮은 이유가 기업의 근본적인 문제(예: 성장성 부족, 산업 침체) 때문인지 분석해야 합니다[1][2][4].
  • 일회성 이익(자산 매각 등)으로 인해 순이익이 일시적으로 높아져 PER이 낮아질 수 있으므로 재무제표를 확인해야 합니다[2][6].

2. 업종 및 시장 환경 고려

  • 업종별로 PER 기준이 다릅니다. 예를 들어, 금융업은 PER이 전통적으로 낮고, 기술주는 성장성을 반영해 높게 형성됩니다. 업종 평균과 비교하여 저평가 여부를 판단해야 합니다[1][2].

3. 미래 성장 가능성 평가

  • 과거 실적 기반의 PER만으로는 미래 수익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예상 실적과 추정 PER을 함께 검토해 성장 가능성을 평가해야 합니다[2][6].

4. 밸류 트랩(Value Trap) 경계

  • PER이 낮아도 기업의 실적 악화나 산업 구조적 문제로 인해 주가 상승 가능성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이를 밸류 트랩이라 하며, 재무 건전성과 시장 전망을 종합적으로 분석해야 합니다[5][7].

5. 추가 지표와의 연계 분석

  • PBR(주가순자산비율), ROE(자기자본이익률) 등 다른 지표와 함께 검토하여 기업의 자산 가치와 수익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2][4].

PER이 낮다고 무조건 저평가된 것은 아니므로, 기업의 재무 상태, 업종 특성, 미래 성장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관련글]


2025.03.02 - [금융지식] - 자주 사용되는 증권 용어와 공식 - PER PBR ROE 관계

2025.02.28 - [금융지식] - PER와 PBR를 함께 활용하면 어떤 결과가 있을까

2025.02.28 - [금융지식] - PER이 낮은 이유는 무엇일까

2025.02.28 - [금융지식] - PER(주가수익비율)이 낮은 주식을 매수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2025.02.28 - [금융지식] - 저평가 종목을 찾기 위한具体적인 방법은

2025.02.28 - [금융지식] - 증권 종목 Best를 찾는 방법

 


인용:
[1] PER가 낮은 주식은 언제 매수하는 것이 좋을까? - 세상사는 이야기 (Say) https://saylife.tistory.com/entry/PER%EA%B0%80-%EB%82%AE%EC%9D%80-%EC%A3%BC%EC%8B%9D%EC%9D%80-%EC%96%B8%EC%A0%9C-%EB%A7%A4%EC%88%98%ED%95%98%EB%8A%94-%EA%B2%83%EC%9D%B4-%EC%A2%8B%EC%9D%84%EA%B9%8C
[2] 주식지표 중 핵심인 'PER' 완벽 이해 분석 - 임프레스워드 https://impressword.com/economic-stocks/%EC%A3%BC%EC%8B%9D%EC%A7%80%ED%91%9C-%ED%95%B5%EC%8B%AC-per-%EB%9C%BB-%EC%98%88%EC%8B%9C-%EB%B6%84%EC%84%9D/
[3] 저 PER주라고 사니? 나는 다 따져보고 산다 - 전국투자자교육협의회 https://www.kcie.or.kr/mobile/guide/24/31/web_view?content_idx=1216
[4] PER만 알면 저가 매수 할 수 있다고요? - 프리즘투자자문 https://www.frism.io/ju-gogaegsaga-aepeulin-hoesayi-jugaga-najeun-iyuneun/
[5] 낮은 PER의 함정 피하려면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trihanwha/220590405296?viewType=pc
[6] AI로 쉽게 배우는 경제 용어(PER편)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kiwoomhero/223399064915
[7] "PER의 함정" 주식 초보가 투자 중에 저지르는 가장 큰 실수 - Daum https://v.daum.net/v/7txMM52mTb
[8] PER, 이 주식이 비싼 걸까? 싼 걸까? - 사이다경제 https://cidermics.com/contents/detail/13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