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기술

스테이블 코인 USDC와 DAI 의 비교

AgileBus 2025. 7. 8. 18:01

스테이블 코인 USDC와 DAI 의 비교

 

🧠 개념 비교

항목USDCDAI
담보 방식 실제 달러 및 현금성 자산 암호화폐 (ETH, USDC 등) 초과 담보
운영 주체 Circle & Coinbase (중앙화) MakerDAO (탈중앙화 DAO)
발행 방식 기업이 직접 발행 스마트 계약을 통해 자동 발행
규제 준수 미국 규제에 적극 대응, 회계 감사 실시 자율 운영, 규제와는 거리 있음
철학 안정성과 투명성 중심 탈중앙성과 디파이 친화성 중심

 

 

📊 시장 규모 (2025년 기준)

항목USDCDAI
시가총액 700억 달러 120억 달러
시장 점유율 전체 스테이블 코인의 약 23% 4%
주요 사용처 거래소, 기업 결제, 국제 송금 디파이(DeFi), 탈중앙화 대출 플랫폼
유동성 높음 (거래소 및 기관 투자자 선호) 중간 (디파이 중심 생태계)

 

⚖️ 담보 방식

 

구분 USDC  DAI
발행사 Circle (발행사) & Coinbase (거래소)
* 중앙화
MakerDAO
* 탈중앙화 자율조직(DAO)으로, 중앙 발행 기관 없음
담보 자산 실제 달러 및 국채 등 실물 자산 암호화폐 (ETH, USDC 등)
발행 방식 Circle이 직접 발행 MakerDAO의 스마트 계약을 통해 자동 발행
담보 비율 1:1 과잉 담보(Over-collateralized): 예를 들어 150% 담보 필요
특징
  • 미국 달러 기반 법정화폐 담보형 스테이블 코인
  • 회계 감사규제 준수에 적극적
  • 미국 정부와의 협력 사례도 있음
  • 기업 및 기관 투자자들이 선호
   
  • 탈중앙화 철학을 기반으로 설계
  • 디파이(DeFi) 생태계에서 널리 사용됨
  • 규제보다는 자율성과 투명성을 중시

 

 

🏛️ 운영 주체 및 철학

  • USDC: Circle과 Coinbase가 운영하는 중앙화된 스테이블 코인
  • DAI: MakerDAO라는 탈중앙화 조직이 운영. MKR 토큰 보유자가 거버넌스에 참여

 

 

🔐 투명성 및 규제

  • USDC: 미국 규제에 따라 감사 및 준비금 공개. 규제 친화적
  • DAI: 스마트 계약 기반으로 자율적 운영, 규제와는 거리가 있음

 

 

🌐 사용 사례

  • USDC: 거래소에서 법정화폐처럼 사용, 현금화 용이
  • DAI: DeFi(탈중앙화 금융)에서 인기, 이자 수익 및 대출 활용에 강점

 

 

📉 리스크

  • USDC: 발행사(Circle)의 재무 건전성에 의존
  • DAI: 담보로 잡은 암호화폐 가격이 급락하면 청산 위험 존재

 

 

🧭 요약

USDC는 안정성과 규제 준수를 중시하는 중앙화 코인, DAI는 탈중앙성과 DeFi 친화성을 중시하는 암호화폐 기반 코인이에요.